[울산시] 울산시민과 산업 지켜온 회야댐(상)건립부터 고품질 수돗물 공급까지 38년 역사
용수전용댐에서 홍수조절용 기후대응댐으로 전환
회야댐은 울산시 유일한 자체댐으로 울산시민 55%의 수돗물을 책임지고 있다.
울산공업단지의 확장에 따라 지난 1986년 5월 준공된 이후 40여 년간 공업용수와 인근 지역주민의 생활용수 공급이라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울산시는 산업시설의 발전에 따른 산업인구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상수도 수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나 가뭄 대처에도 점점 취약해지고 있어 상수도시설 확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지난달 30일 환경부에서 발표한 ‘기후대응댐 후보지’ 전국 14곳 중 회야댐이 최종 포함됨에 따라 회야댐 운영에 변화를 시도할 시점이다.
이에 울산시는 회야댐을 운영하면서 나타난 안전성 문제와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2회에 걸쳐 모색해 보고자 한다.
회야댐과 수도시설
<수원시설>
회야댐의 댐형식은 중심코어형 석괴댐으로 높이 36.50m, 길이 424m, 유역 면적 127㎢이다. 댐에 고인 물이 만수위인 높이 31.8m를 초과하면 여수로를 통해 방류되는 구조이다.
회야댐은 지난 1982년 12월 31일 공사에 들어가 1986년 5월 14일 완공됐다. 아세아개발은행차관을 통해 마련한 430억 원이 투자됐으며 댐 건설 시 수몰면적 2.21㎢에 대한 보상비만 해도 93억 원에 달했다.
댐 건설 완료 후 댐 주변지역의 주민소득 증대와 복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매년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 2001년부터 현재까지 지역의 기반시설 조성 등에 총 76억의 사업비가 지원되었다.
지난 2016년 10월 태풍 차바 때에는 집중호우로 수위가 상승해 월류 등 댐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2018년 9월 사업비 26억 원을 투입해 댐체에 대한 보강공사(파랑방지벽 설치, 콘크리트 포장, 댐 배면부 식생블럭 설치)를 완료하면서 댐체 안정성을 확보했다.
<취수 및 도수시설>
회야댐의 저수지 내에는 댐물을 취수해 정수장으로 보내기 위한 취수탑이 있다. 취수관을 통해 취수한 물을 관로로 보낸다. 지난 1983년 11월에 완공되었으며, 취수탑에서 댐물을 취수하는 취수구는 상단 26m, 하단 20m에 3문(1.6m×1.6m)씩 배치되어 있다.
취수된 물을 가배수터널 출구에서 정수장까지 원수공급을 위한 도수관로는 최단거리가 되도록 관로와 터널을 병용해 설치했다.
<정수시설>
회야정수장은 회야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해 시가지와 배수지로 보낸다. 정수 규모는 일 27만㎥(1정수장 12만㎥, 2정수장 15만㎥)이며 갈수기에는 낙동강 원수를 일부 공급받고 있다. ※ 회야1정수장 1986년 9월 준공, 2정수장 1995년 11월 준공
정수처리 공정은 전오존 처리한 원수량을 파악해 약품을 투입하고, 침전 및 여과, 후오존 및 활성탄 흡착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정수장에 유입된 원수에 약품(알칼리제 및 응집제)을 투입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응집지에서 침전효과가 높아지도록 큰 입자로 응집시킨다.
침전지에서는 응집된 부유물질은 가라앉고 상부의 깨끗한 물은 여과지로 유입된다. 침전지에서 걸러지지 않은 오탁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급속여과지를 거치면서 대부분 오염물질은 제거된다.
이후 오존 및 활성탄흡착지로 이루어진 고도정수처리장치를 거쳐, 일반적인 정수처리로 제거하기 어려운 냄새 물질, 발암성물질(트리할로메탄 등), 기타 물속에 녹아있는 불순물을 완전히 처리한다.
마지막 단계로 정수지에서 염소소독 후, 송수펌프를 통해 배수지로 보내고 급수관을 통하여 각 가정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배수시설>
배수시설은 정수시설에서 급수장치까지의 시설로 회야댐 계통 상수도 확장사업 중 용지보상 해결 등의 어려움으로 가장 늦게 완공됐다.
배수지 전체 용량은 일 22만 5,000㎥이다. 배수관로의 관망조직과 배수지 규모 및 위치는 울산시 전배수계통의 경제성 지형조건 및 도시계획을 고려해 설비하였다.
현재 회야댐 계통에 14개소의 배수지와 8개소의 가압장이 운영되고 있다.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댐, 수돗물 공급을 위한 과제
회야댐 주 유입수인 회야강의 상류 지역은 양산시 웅상읍이고, 하류지역은 울산시 웅촌면이다.
이에 지난 2004년 말 회야강 상류인 웅상읍 용당리 일대 52만 8,000㎡의 산업단지 조성을 두고 두 행정기관이 마찰을 빚기도 했다.
다행히 지난 2005년 초 두 지역이 공동으로 회야강 대청결 운동을 벌이는 등 식수원을 지키기 위한 노력과 인식을 함께 하고 있으며, 회야강 상류 오염원 등의 수질오염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응을 하고 있다.
회야댐은 장마나 폭우 시 수위가 상승하면 여수로를 통해 자연 월류된다. 자연 월류로 생활용수의 손실이 생기고, 댐 하류지역은 침수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지난 1991년 태풍 글래디스(약 500mm 물폭탄)와 2014년 태풍 나크리(약 300mm 폭우) 당시에는 폭우로 댐 하류지역 주민들이 대피할 정도의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 2016년도 태풍 차바 때 급격히 늘어난 댐물이 회야강으로 유입되어 회야강 하류가 범람해 하류지역이 잠기는 등 수재민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2020년 태풍 마이삭(약 128mm 폭우)과 연이은 태풍 하이선(약 330mm 폭우)때에도 회야강이 범람하는 등 집중호우 시 빈번하게 재난에 노출되고 있다.
<수문설치로 용수공급은 물론 재난대응까지 겸비>
회야댐은 홍수나 폭우로 수차례 월류하면서 댐 용수의 손실은 물론 하류 하천에 유입량을 증가시켜 하천 범람으로 인한 재해를 유발해 왔다.
하천 상류에 댐이 있는 경우 하천으로 유입되는 강수량을 댐이 받아준다.
다만 회야댐에는 수문이 없어 홍수를 대비해 미리 댐을 비우는 것이 불가능해 그 기능이 부족하다.
이에 울산시는 지난해 10월 환경부에 회야댐 새단장(리모델링)을 통한 수문설치를 국비지원 사업으로 선정해줄 것을 신청한 바 있다.
올해 7월 회야댐이 환경부 기후대응댐 후보지로 선정됨에 따라 회야댐 수문설치사업 추진에 한걸음 다가서게 됐다.
향후 회야댐 수문설치사업 추진을 통한 재해 유발 방지 등 안전성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 뉴스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